치와와 기원, 특징, 성격
오늘은 반려견들 중에서 가장 작은 크기를 가진 치와와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 몇 년 전 한 예능프로그램에서 귀여운 장모 치와와가 활약하며 많은 인기를 얻었는데요, 작은 머리에 비해 돌출되고 큰 눈이 매력적이며 특징적인 견종입니다. 아래에서 기원과 역사, 성격과 외형적 특징에 대해 요약해보겠습니다.
치와와의 기원
치와와는 지금의 멕시코 지역에서 유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톨텍 문명에서 기르던 테치치라는 품종이 먼 조상이었을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톨텍 문명 이후, 아즈텍 제국 시절에 테치치가 다른 개들과 교배되며 점차 현재의 모습을 가지게 된 것으로 추정되는데, 어떤 이들은 치와와가 유럽이나 중국에서 기원했다는 주장을 펼치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최근 진행된 DNA 연구 결과, 유럽과 중국 개와는 관련이 없다는 것이 이미 밝혀졌기 때문에 치와와가 중남미에서 왔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유래로 자리를 잡았습니다. 치와와라는 이름은 멕시코의 치와와주에서 따온 것으로 1960년대가 넘어가면서부터 치와와는 전 세계에서 사랑받기 시작했습니다.
견종 특징
평균 몸무게가 채 3kg가 되지 않는 초소형견으로 반려견 중 가장 작은 품종에 속하며 기네스북에 등재된 '세상에서 가장 작은 개' 중 많은 케이스가 치와와였습니다. 일례로 2014년 기네스북에 등재된 세상에서 가장 작은 개는 체고가 9cm에 불과하고 다 자란 몸무게가 500g밖에 되지 않았다고 합니다.
털색은 검은색, 금색, 갈색, 얼룩무늬 등 매우 다양하며 단모종이 흔하지만 최근 장모 치와와도 많이 키우는 추세입니다. 귀가 위로 쫑긋 솟아있고 돌출되어 튀어나올 것 같은 눈이 가장 특징적인 외형적 특징입니다. 장모종이나 단모종 모두 미용의 필요성이 크지 않으며 털 빠짐도 적은 편인데, 작은 턱 때문에 치아가 약하고 머리뼈가 완전히 닫히지 않는 경우도 발생하므로 유의해야 합니다.
지능은 전체 79위에서 67위에 랭크되는 등 별로 높지 않은 편이지만, 실제로 멍청하다기보단 주인을 잘 따르지 않아서 낮은 수준으로 랭크가 매겨진 것에 가깝습니다.
치와와 성격
크기 자체는 아주 작지만, 엄청나게 사나운 성격을 가지고 있는 개체들이 많아 반전의 요소를 가지고 있습니다. 인터넷을 서핑하다보면 흔히 치와와가 분노하여 입질을 하는 영상들을 볼 수 있는데, 성격이 불같고 거친 데다 질투심이 많아 작은 몸집에도 불구하고 다른 개에게 달려드는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포메라니안과 마찬가지로, 만약 이런 성격을 가지고 대형견으로 태어났을 경우 사람들과 어울리며 살지 못했을 것입니다. 워낙 작고 대미지가 적기 때문에 정신적으로는 좀 힘들지라도 육체적으로 크게 물리거나 다치진 않습니다.
훈련이 상대적으로 어렵고 주인을 무시하며 이기적인 면이 있기 때문에, 주인의 강단 있는 훈련이 필요하며 제대로 길들이기 위하여 단단한 학습이 필요합니다. 짖음과 입질이 상대적으로 심한 편이지만, 성격이 나쁜 것만은 아닙니다. 주인에 대한 애착과 독점욕이 강한데, 행복할 때는 활달하고 애교가 많으며 사랑스럽기 때문에 여러 가지 반전 매력이 치와와를 더 인기 있는 소형 견종으로 만들어 준 것 같습니다.
한편, 여러가지 개들과 함께 있을 때는 치와와들이 서로 뭉치는 속성이 있으며 이는 다른 견종들은 잘 보이지 않는 치와와만의 독특한 성격이기도 합니다.
주요 질병, 유의점
치와와는 초소형 강아지로, 그만큼 신체가 전반적으로 약하고 작습니다. 대표적으로 애플 헤드라는 현상이 있는데, 치와와의 머리는 사과처럼 작고 동공과 두골이 매우 가까이 위치해있기 때문에 머리에 충격을 주지 않도록 조심해야 합니다. 그리고 치와와의 주요 질병은 수도증이 있는데, 뇌실에 물이 차는 질병으로 증상은 다양하나 시야 초점이 흐려지고 이에 따라 느리게 사지를 움직이게 됩니다. 신체기관이 약한만큼 최적인 충격을 최소화하고 잘 보살펴주어야 하는 강아지입니다.
'펫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몰티즈(말티즈)의 기원, 성격과 특징 (0) | 2022.07.23 |
---|---|
시베리안 허스키의 모든것, 정보 모음 (0) | 2022.07.22 |
인기견종 시츄의 기원, 특징, 성격 (0) | 2022.07.20 |
프랑스의 국견, 푸들의 종류와 특징 (0) | 2022.07.19 |
포메라니안의 특성과 성격, 주의할점 (0) | 2022.07.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