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 정보

2025 하얼빈 동계 아시안 게임 일정, 메달현황, 종목

by 씨비 2025. 2. 9.
반응형

8년 만에 열리는 제9회 동계아시안게임이 7일 금요일 중화인민공화국 헤이룽장성 하얼빈시에서 개막했습니다. 하얼빈은 1996년 제3회 동계아시안게임을 개최한 바 있습니다. 이번 대회는 내년2026 동계올림픽을 앞두고 선수들이 각자의 기량을 점검하는 시간이기도 한데요, 

 

현재 열리고 있는 동계 아시안 게임의 대회 일정과 참가국, 종목과 현재 메달 집계 상황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하얼빈 동계 아시안게임  

 

34개국 1275명의 선수(남자 775명, 여자 520명)가 참가하는 2025 하얼빈 동계아시안게임은 2월 7일부터 14일까지 열립니다

한국 선수단은 선수 148명, 경기 임원 52명, 본부 임원 22명을 포함해 총 222명으로 구성됐습니다. 한국 선수단은 2017 삿포로 동계아시안게임에서 금메달 16개를 포함해 총 50개의 메달(금 16·은 18·동 16)을 획득했으며, 개최국 일본에 이어 종합 2위를 차지했습니다. 이번 대회에서도 종합 2위를 노리고 있습니다.

 

 

 

 

하얼빈 동계 아시안게임 참가국

 

참가국은 총 34개국이며, 대한민국은 149명의 선수를 파견하여 11개 종목에 출전하고 있습니다.

사우디아라이바, 캄보디아는 동계 아시안게임에 최초로 참가했는데, 이로 인해 이번 동계 아시안 게임은 역대 최다국의 선수가 참가하게 되었습니다 .

 

 

 

하얼빈 동계 아시안게임 종목

하얼빈 동계 아시안 게임은 총 11개 스포츠 종목과 64개 세부 종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주요 종목은 아래와 같습니다. 

  • 알파인 스키
  • 바이애슬론
  • 크로스컨트리 스키
  • 컬링
  • 피겨 스케이팅
  • 프리스타일 스키
  • 아이스하키
  •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 스키 마운틴닝
  • 스노보드
  • 스피드 스케이팅

그리고 위 종목들은 남녀 구분, 개인 및 단체 경기, 거리 등을 기준으로 하여  세부 종목으로 나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스노보드 종목은 하프파이프, 슬로프스타일, 빅에어로 나누고 각기 성별로 다시 두 종목으로 나뉘는 식입니다. 

 

이번 대회에는 노르딕 복합, 스키점프, 스켈레톤, 봅슬레이, 루지가 없다는 점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렇게  다양한 종목과 세부 종목을 통해 아시아 각국의 선수들이 겨울 스포츠 실력을 겨루고 있습니다.

 

 

 

아시안게임 메달 현황

현재 제가 글을 쓰고 있는 2월 9일 오후 기준,  메달 현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쇼트트랙에서 그렇게 많은 활약을 보여주고 있지만, 여전히 중국의 물량 공세는 쉽지 않네요!

1위 중국, 2위 대한민국, 3위 일본으로 한중일 세 국가가 메달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스피드 스케이팅에서도 우수한 성과를 보여주었다고 하는데요, 이렇게 빙상에서 좋은 성과를 거둘 때마다 내년 올림픽이 더욱 기대됩니다. 

 

 


 

 

 

아시안게임은 SPOTV 채널에서도 광범위한 중계를 진행하며, SPOTV NOW 플랫폼을 통해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다양한 기기에서 실시간 스트리밍으로 시청할 수 있습니다. 

하얼빈 동계 아시안게임의 의의는 단순한 스포츠 대회를 넘어 2026 밀라노-코르티나 동계올림픽의 중요한 사전 시험무대로서의 역할에 있기도 한데요, 선수들이 좋은 결과를 거두고 동계올림픽까지 기세를 이어갔으면 좋겠네요!

 

 

 

 

기대수명 계산기, 수명 측정

기대수명 계산기에 대해서 들어보신 적 있으신가요? 간단한 질문을 통해 나의 남은 수명이 대략 얼마일지 알아볼 수 있다고 합니다. 생각지도 못한 사고나 질병이 생길 수 있겠지만, 만약 그런

ssibi.tistory.com

 

 

2026 월드컵 북중미 개최국 이유 (+2030년 개최지는)

지난 월드컵을 치른지 얼마 되지도 않은 것 같은데, 벌써 2년앞으로 다가왔습니다. 지난 2022년 월드컵의 우승국은 아르헨티나, 준우승국은 프랑스로 두 국가는 3-3스코어와 승부차기까지 치열한

ssibi.tistory.com

 

반응형

댓글